반응형 배워보자!!175 [고사성어] 구화지문(口禍之門 ) 입조심하자!! 口입(구) 禍재앙(화) 之어조사(지) 門문(문)입은 모든 재앙의 문이다. *고사유래-당나라가 망하고 송나라가 이루어질 때가지 흥망한 다섯 왕조 곧 후당, 후량, 후주, 후진, 후한을 오대라 일컫는다. 풍도는 당나라 말기에 태어났으나 당나라가 망한 뒤의 후당때부터 입신하여 재상을 지냈다.그는 다섯 왕조에 걸쳐 여덟개의 성을 가진 열 명의 임금을 섬겼을 정도로 처세에 능한 인물이었다. 풍돈느 그 동란의 시기에 73세의 장수를 누리는 동안 처신에 많은 경륜을 쌓은 사람답게 많은 처세관을 담은 글을 남겼는데 아래의 시도 그 중 하나다. 口是禍之门 (구시화지문) : 입은 재앙을 불러들이는 문이요舌是斬身刀 (설시참신도) : 혀는 몸을 자르는 칼이로다閉口深藏舌 (폐구심장설) : 입을 닫고 혀를 깊이 감추면安身處處牢 .. 2015. 2. 18. [고사성어] 고사성어란?? 고사성어(故事成語)란중국의 고사에서 유래하여 비유적인 내용을 담은 함축된 글자로 상황, 감정, 사람의 심리 등을 묘사한 말이다.옛일에서 생겨나 지혜로운 옛사람들의 삶과 경험이 녹아있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고사성어와 사자성어와 차이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고사성어는 특정 사건에서 유래된 글귀이니 꼭 넉자로 된 것만은 아니지만사자성어의 경우 글자 그대로 넉자로 이루어진 글귀입니다. 2015. 2. 18. [속독법]성적향상에 도움이 되는 속독법에 대해 알아보자! 1탄 속독(速讀)- 사전적 의미는 책을 빨리 읽는다는 뜻이다.. 제한된 시간 내에 빠른 속도로 글의 중심내용이나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속독력은 읽는 속도만 올린다고 해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정보처리능력과 뇌의 제반 능력을 골고루 높여야 가능한 것이다. 우선 이를 위해선 기초체력(?)이 필요하다 축구선수로 예를 들어보자.공은 정말 잘차고 , 드리블이 정말 세계적이다 하더라도 체력이 바닥이라면 과연 누가 이 선수를 기용할 것인가?우선적으로 기초체력 단련이 우선적으로 되어야 한다. 속독은 집중력과 상상력, 기억력이 전제되어야 한다.단순히 안구운동이나 기호훈련 같은 것에만 주력한다면 독서습관이나 두뇌활동을 높이는 면에서 효과를 거두기가 어렵다. 속독훈련은 활자에 대한 저항감을 줄여주고 자신의 .. 2015. 2. 18. [우리말] 며칠이 맞을까? 몇 일이 맞을까요? 며칠(o) , 몇 일(x)매일 같이 쓰는 말이지만, 제대로 쓰고있는지 아닌지도 잘 모를 때가 많다.며칠이 그렇다...대부분 사람들이 몇일로 알고 있을 겁니다.하지만 몇일이란 표기는 쓰이지 않습니다. 비슷한 말로 몇 월의 경우에는 몇 월로 적지만 며칠은 다릅니다. *출처 2015. 2. 17.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 4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