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78 [c언어] c언어 포인터에 대해 알아보자! ●포인터란??- 간단히 말해 변수가 선언이 되면 메모리상에 저장된 그 변수의 주소값을 담아두는 변수이다. - 포인터의 크기는 타입에 상관없이 4바이트입니다.- 포인터에 타입은 변수를 참조할 때 몇 바이트를 읽을지 가르쳐 주기위해 존재한다고 합니다. #include int main(){char a = 'c';int b = 3;double d = 3.14;}0x1000 a = 'c' = char (1바이트) 0x1001 b = 3 = int (4바이트) 0x1002 0x1003 0x1004 0x1005 d = 3.14 = double (8바이트) 0x1006 0x1007 0x1008 0x1009 0x100a 0x100b 0x100c ◆포인터 선언하는 방법- 포인터를 선언할 때는 "*" 연산자를 사용합니다. .. 2015. 4. 15. [c언어] c언어 문자길이 뽑아내기! 문자 길이를 알 수 있게 함수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문자열은 항상 마지막에 Null문자 (\0)로 끝나는 걸 이용해서while 반복문으로 총 몇글자 인지 알아보겠습니다. #include int length(char str[]){int count=0;while(str[count] != '\0') // 2015. 4. 15. [c언어] gets() 함수 , puts() 함수 쓰는 법! 문자열 입출력 함수인 gets() , puts()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gets() 함수는 키보드로부터 문자열을 입력받고,puts() 함수는 화면에 문자열을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함수입니다. 1.gets() -gets() 함수는 Enter키를 누르기 전까지 공백을 포함한 모든 문자열을 입력 받습니다. 2.puts()-puts() 함수는 문자열을 화면에 출력하고 printf()함수와는 다르게 자동으로 줄이 바뀝니다. #include int main(){char myArray[20];puts("아무 글이나 입력하시오~");gets(myArray);puts(myArray);return 0;} 2015. 4. 15. [linux] 리눅스 파일관리하기! Centos 리눅스에서 파일 관리하는 명령어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명령어 설명 touch 파일의 시간정보를 변경하고 , 크기가 0인 파일을 생성합니다. cp 파일을 복사합니다. mv 파일을 이동시킵니다. rm 파일을 삭제합니다. cat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합니다. [옵션] 1. cpcp[옵션] 원본 사본-a : 원본파일 그대로 유지하면서 복사-b : 복사할 대상이 있을 경우 백업후 복사-f : 복사할 대상이 있을 경우 강제삭제후 복사-i : 복사할 대상이 있을 경우 물어본다. 2. mvmv [옵션] 원본 위치-f : 묻지 않고 바로 이동-i : 이동시 물어본다. 3.rmrm [옵션] 파일이름-i : 파일을 삭제할지 물어본다.-r, -R : 파일이면 지우고, 디렉토리일 경우 자식들도 같이 지운다... 2015. 4. 14.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7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