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78

[c언어] c언어 static변수, register변수란? 지역변수, 전역변수에 대해 알아봤으니 이번엔 static변수와 register변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static변수-static변수란 변수 선언 시에 변수 앞에 static를 붙여서 선언이된 변수를 말합니다. fn함수내에 지역변수인 a와 static 변수인b의 변수 차이를 보겠습니다.함수내에 선언이 되면 보통 지역변수인데 static 를 붙여주면 그 특성이 전역변수와 비슷해집니다. 2.register변수-register변수 역시 변수앞에 register을 붙여 선언을 하게 됩니다.register을 붙여 변수를 선언을 하게 되면 CPU의 "레지스터" 메모리 영역에 저장이 되게 됩니다.레지스터는 CPU의 접근이 가장 빠른 메모리 공간으로 일반 지역변수보다 빠르게 처리가 됩니다. ex)int a = .. 2015. 4. 14.
[c언어] c언어 지역변수, 전역변수란? c언어 변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지역변수, 전역변수 외에도 static변수와 register변수도 있습니다. 1.지역변수 [Local Variable]- 간단히 함수내에 선언된 변수라 보시면 됩니다. 지역변수는 함수가 호출될 대 메모리상에 존재했다가, 함수가 종료되면 메모리상에서 삭제됩니다.한번만 실행되고 삭제될 수도, 해당 함수가 호출될 때마다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지역변수는 다른 함수내(fn함수) 라면 변수명이 같아도 상관 없습니다. 아래 코드와 같은 차이입니다. #include int myVar; // 2015. 4. 13.
[c언어] c언어 함수 사용법! (계산기 만들기) 프로그램을 짜다보면 반복적으로 수행될 코드가 있습니다.그럴 경우 간략하게 함수를 추가해서 코드량도 줄이고 간편히 쓸수 있게 만들어보겠습니다. 계산기를 한번 만들어보겠습니다.^^여기서 주의해야될 점이 있습니다.컴파일러는 위에서 아래로 컴파일을 진행하다보니 밑에 주의라고 표시해둔 부분의 코드가 빠져 버리면 오류가 나버립니다. main이람 함수를 먼저 컴파일 하기때문에 main함수 내에서 result = compute(a,b,c); "compute" 함수를 인식을 못 하게 됩니다...밑에 코드처럼 main함수보다 먼저 선언을 해주거나 compute 함수랑 main함수 순서 자체를 바꿔 주셔도 됩니다. #include int compute(int a,int b,char c); // 2015. 4. 13.
[c언어] switch 문 쓰는 법! switch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switch문도 if~else문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보기에 간결해보이긴 하지만 전 잘 안쓰게 되더라구요 대신 if~else문을 주로쓰지 같은 결과같을 내는 것을 switch문과 if~else문으로 짜보겠습니다. switch문#include int main (){ int num = 2; switch(num) { case 1: printf("num 은 여기입니다.==%d\n",num); break; case 2: printf("num 은 여기입니다.==%d\n",num); break; case 3: printf("num 은 여기입니다.==%d\n",num); break; } return(0);} if~else문#include int main (){ int num =.. 2015. 4. 13.
반응형